전라북도청사 전경. [사진=전라북도]

전라북도가 전국 최초로 전주기상지청과 폭염 재난 공동대응을 위한 협업에 나섰다.

전북도는 갈수록 증가하는 폭염으로부터 주민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폭염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전주기상지청과 협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전라북도는 도와 14개 시군이 보유한 재난방송시설 3679곳을 전주기상지청은 기상청 공개 응용프로그램 개발환경(Open API)를 통해 폭염 영향예보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양 기관이 협력해 폭염 재난상황에 실시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폭염 영향예보'는 폭염에 따른 사회·경제적 위험 경감을 위해 지역·분야별 영향정보를 4단계 위험 수준(관심, 주의, 경고, 위험)과 대응 요령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재난 예경보시스템을 통해 보건 분야가 경고단계 이상일 때 도민에게 2회(전일 18시, 당일 09시) 자동 방송된다.

전라북도와 기상청이 협업에 나선 것은 폭염 영향예보가 농촌어르신과 야외근로자, 지역민에게 직접 전달돼 폭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전북도에서는 각 시군에 맞는 폭염 위험수준과 대응 요령을 전주기상지청으로부터 전달받고, 전주기상지청은 전북도의 전달체계를 활용해 지역민에게 직접 전파할 수 있어 기관간 협업으로 폭염 자연재난에 신속하게 상황전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전라북도 윤동욱 도민안전실장은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국가나 지자체가 한마음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이번 전주기상지청과 협업으로 도민에게 폭염 위험수준과 대응요령을 전파해 폭염으로부터 도민들의 온열질환 피해를 예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기상청은 최근 10년(2013∼2022년) 전북지역 평균 폭염일수(체감온도 33℃이상)는 20.4일로 그 이전 10년 15.4일 보다 급격히 증가하고, 온열질환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